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3)
#11 연봉과 자산, 투자금액의 가치 2020년 1월 15일. 첫 회사의 신입 연수에서 들었던 강사의 이야기로 기억한다. 당신의 연봉을 바꿔 말하면 당신이 은행에 10억을 갖고 있고 매년 그 이자를 받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이야기였다. 그래서 돈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스로의 가치를 발전시켜서 연봉을 올리는 것은 마치 자산이 늘어난 것과 같다는 논리였다. 당시에는 3년 안에 1억 모으기와 같은 재테크를 위한 목돈 모으는 요령이 널리 유행하던 시절이었는데, 반대로 자기개발과 업무수행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라 신선했던 기억이 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 이야기는 꽤 재미있는 관점을 선사한다. 요즘에는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인 자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현금 흐름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돈이 들어오는 파이프라인을 어떻게 만들지..
#10 그 곳에는 결핍이 없다 2020년 1월 13일. 내 인생에서 가장 생각을 많이 했던 시기를 꼽으라면 중고등학생이었을 때가 아닌가 싶다. 그 생각의 종류가 대부분 고민이라는 범주로 묶이는 수준이었겠지만 그 당시에 가장 많은 글을 읽고, 가장 많은 글을 썼다. 물론 지금도 생각이 많고, 수없는 걱정과 고민을 하지만 그 당시만큼 오롯이 나 자신이 대해 생각했던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돌이켜보면 그 당시의 나와 지금의 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가능성에 대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고등학교에서 여러가지 진로와 적성에 대해서 아직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 있던 내가 고민해야하는 것과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다니면서 결혼에 육아까지 하고 있는 지금의 나는 인생의 대부분의 이벤트가 확정적이라고 볼 수 있을테니 말이다. 과거의 내가 수없이 리플..
#9 Test Gram Wallet 2020년 1월 12일.요즘은 공기가 안 좋으니 뛰놀고 싶어 하는 아이들을 데리고 어딜 나가기가 참 곤란하다.중국의 대기질과 디커플링은 언제쯤이나 가능할는지. 최근에 텔레그램 공식 채널에서 TON과 Gram에 대한 포스팅이 있었다.#5 텔레그램과 톤(TON), 그램(gram)2020년 1월 7일. 나는 주 메신저로 텔레그램을 쓴다. 텔레그램은 와츠앱에서 정착하게 된 거의 100% 만족도를 주는 앱이다. 지금에 이르러서야 멀티 디바이스도 안되고 용량도 커지고 광고도 붙고 업로드한 자료도..executor.tistory.com그래서 관련 내용들을 읽다 보니 올해 4월 30일로 늦어지긴 했지만, 실제로는 작년 하반기에 론칭이 되었어야 하는 일정인 듯했다.관련된 문서들은 공식 TON (Telegram Open ..
#8 넷플릭스 예찬 그리고 왓챠플레이 시작 2020년 1월 11일.퇴근해서 애들과 놀고 있을 때 동생에게 메시지가 왔다. 나는 넷플릭스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4K 화질이 지원되고 멀티 접속이 가능해진다.그래서 하나의 계정으로 본가, 처가, 우리 집, 그리고 동생집까지 공유를 하고 있다.덕분에 장모님은 공중파 아침 드라마를 벗어나셔서 미드의 새로운 세계에 발을 들이셨다. 나는 다섯 가지 이유로 넷플릭스를 첫 무료 가입 후 계속 결재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한 달 무료 이후에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된다는 점,두 번째는 깔끔한 한글자막이 제공된다는 점, 세 번째는 광고가 없다는 점, 네 번째는 하나의 계정당 4개의 IP가 허용된다는 점, 다섯 번째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있다는 점, 이렇게 다섯 가지 이유로 인해 한국 서비스 오..
#7 소액 투자, 어니스트펀드 2020년 1월 10일. 작년부터 어니스트펀드를 이용하고 있다. 저금리에 소액 투자를 하기에는 가장 편리한 플랫폼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현재 기준으로 누적 투자금액이 7400억에 이른다고 하니 개인 투자의 경우 2천만 원이 투자 한도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대단한 일이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약 161만건의 누적 투자 회수의 연평균 수익률은 11.69%이다. 원금 보장이 되지는 않지만 손실 위험이 관리되고 있다는 점과 은행 금리 대비 높은 수익률은 매력적인 부분이다. 원금 상환 기간이 짧고 이율이 높지만 적당히 부실하지 않은 상품을 위주로 투자했다. 대부분의 상품들이 연이율 10% 이상이었기 때문에 크게 A1~A3 등급 내에서는 고민하지 않았다. 어니스트펀드는 투자 채권 종류에 따라 투자 한도가 있어 한 ..
#6 주식 매수의 시기 2020년 1월 9일. 보통 많이 듣게 되는 주식을 가장 현명하게 사는 방법은 쌀 때 사서 비쌀 때 파는 것이다. 그렇다면 언제가 싸고 언제가 비싼 것일까. 왜 항상 마음먹은대로 되지 않고 반대로 비싸게 사서 싸게 팔게 되는 것일까. 내 나름대로의 결론은 이렇다. 그 결론을 설명하기 위해 아주 간단한 가정 위에서 논리를 전개해보자. 1. 세상은 점점 좋아지고 있다. 2. 미국은 거의 모든 산업 분야를 선도한다. 3. 대한민국의 경제는 견실하게 견인되고 있다. (보통 이 가정이 어려운데, 미국 주식을 하게 되니 이제는 무시해도 된다.) 이런 관점을 가지고 본다면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시기는 언제나 연초가 되고, 언제나 바로 지금이 된다. 요즘 미국 주식을 시작하면서 미국과 이란의 국면으로 인해 뉴스를 읽고..
#5 텔레그램과 톤(TON), 그램(gram) 2020년 1월 7일. 나는 주 메신저로 텔레그램을 쓴다. 텔레그램은 와츠앱에서 정착하게 된 거의 100% 만족도를 주는 앱이다. 지금에 이르러서야 멀티 디바이스도 안되고 용량도 커지고 광고도 붙고 업로드한 자료도 기간이 있고 이런 저런 불만이 있지만 애초에 카카오톡을 쓰는데 부정적이었던 이유는 바로 보안 때문이었다. 각자의 주소록을 카카오톡 서버로 전송해서 이른바 카카오톡 서버에는 전국민의 주소록이 그대로 저장된다는 구조. 텔레그램은 해당 주소록을 해쉬로 바꿔 매칭하는데만 쓰이지 그 주소록 자체가 전송되지는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던 걸로 기억한다. 그런 측면에 간결한 아이콘과 메신저에만 집중한 서비스, 멀티 디바이스 지원, 각종 봇 서비스에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더해져 버릴 것 하나 없는 앱이 되었다. 진..
#4 국내 주식, P2P, 그리고 미국 주식 2020년 1월 3일.요즘은 아이들을 재우다가 잠드는 경우가 많다.어떻게 하면 좀 더 소프트하고 마일드하며 스무스하게 재울 수 있을까.작년에 만기가 끝난 적금이 5천만 원짜리가 하나, 3천만 원짜리가 하나 있다.이 자금을 이용해서 미국 주식을 좀 더 사모을 생각이다.현재는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크게 3가지로 운용하고 있는데, 국내 주식과 P2P와 미국 주식으로 나눠볼 수 있겠다.국내 주식의 경우에는 맥쿼리인프라로 정착했고, P2P의 경우에는 작년부터 어니스트 펀드로, 미국 주식은 올해부터 시작했다.맥쿼리인프라도 틈틈이 사모으고 있고, 어니스트 펀드의 경우에는 이미 개인 운용 한도인 2천만 원을 채웠기 때문에 더 이상 금액을 늘릴 수는 없는 상태다.따라서 여유 자금이 생길 경우에는 앞으로는 미국 주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