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oughts

#9 Test Gram Wallet

2020년 1월 12일.

요즘은 공기가 안 좋으니 뛰놀고 싶어 하는 아이들을 데리고 어딜 나가기가 참 곤란하다.

중국의 대기질과 디커플링은 언제쯤이나 가능할는지.

 

최근에 텔레그램 공식 채널에서 TON과 Gram에 대한 포스팅이 있었다.

#5 텔레그램과 톤(TON), 그램(gram)

2020년 1월 7일. 나는 주 메신저로 텔레그램을 쓴다. 텔레그램은 와츠앱에서 정착하게 된 거의 100% 만족도를 주는 앱이다. 지금에 이르러서야 멀티 디바이스도 안되고 용량도 커지고 광고도 붙고 업로드한 자료도..

executor.tistory.com

그래서 관련 내용들을 읽다 보니 올해 4월 30일로 늦어지긴 했지만, 실제로는 작년 하반기에 론칭이 되었어야 하는 일정인 듯했다.

관련된 문서들은 공식 TON (Telegram Open Network) 사이트에서 모두 볼 수 있다.

 

https://test.ton.org/

 

test.ton.org

이곳에 있는 백서들은 시간을 내서라도 읽어보는 편이 좋겠지만, 2달 정도 방학이 있지 않은 이상은 어려울 듯하다.

꽤 방대한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각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백서들이 있고, 심지어 TON을 개발하기 위한 Fift라는 개발 언어도 만들었다.

github에 소스코드도 있으니 시간만 주어진다면 하나씩 알아가보는 것도 좋겠지만, 당장 눈 앞의 버그도 잡지 못하는 제조업 개발자에게는 무리다.

하지만 일단 테스트 서버를 열어놓고 있으니 미리 체험해보는 것은 어떨까?

Test Gram Wallet

Test Gram Wallet Set up your own Gram Wallet on the TON Testnet. This software is available under GPL v3 license. Source code is available on GitHub.

wallet.ton.org

이 곳에서 테스트용 Wallet을 다운로드한다.

 

테스트라는 점을 강조

 

설치하고 나면 지갑을 만들 수가 있다.

이때 마치 보안카드와 같은 24개의 secret word를 주는데 잘 적어놓도록 하자.

이후 비밀번호 등록 후 생성 완료.

그다음에는 https://t.me/test_ton_bot에게 말을 걸어 wallet 주소를 알려주면 그다음부터는 Send와 Receive를 할 수 있게 된다.

처음에 100개를 요청해봤는데 실제로는 7개가 들어왔다. (5에서 20개까지 랜덤 하게 주어지는 듯.)

그리고 바로 1 그램을 전송해보았다.

 

 

수수료가 있구먼.

 

생각보다 전송은 느리지도 않지만, 빠르게 이루어진 것 같지는 않다. 

기본적으로 이런 암호화폐들이 결제 수단으로 쓰이기 어려운 이유는 바로 처리속도에 있다. 

카드사들의 경우 1초에 수천, 수만 건들이 진행되지만,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의 특성으로 인해 1초에 수십 번 정도가 한계이므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데, 텔레그램이 만약 TON을 통해 이런 속도를 극복해낸다면, gram이라는 화폐를 이용해서 마치 우리가 사용하는 비자나 마스터 카드와 같은 신용카드처럼 결제가 가능해지고, 메신저를 기반으로 한 토스나 카뱅과 같이 빠르고 쉽게 접근 가능한 근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그럼 다른 암호화폐들처럼 투기적인 행태가 아닌 일반적인 화폐처럼 유통이 가능해지고, 그럼 텔레그램을 이용하는 2억 명의 사용자들에게는 돈을 주고받거나, 물건을 사고팔 수 있는 새로운 화폐가 생기게 된다. (내가 그래서 비자(V)를 안 샀나..?)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에서는 gram을 화폐가 아닌 증권으로 본 이유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텔레그램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어쨌거나 이제 올해 4월 30일이면 알게 될 일이다.

과연 이런 한계점들을 어떻게 풀었을지 기대해보는 것이 즐거운 일이 될 것 같다.